파이 키우는 한국 뮤지컬 시장
30주년·200만 관객 돌파 작품 탄생
여성 고정 팬부터 중년 남성 증가세
대형 라이선스 성공에 매출도 급증
대학로 대표 창작 뮤지컬도 잇따라
“경제 성장 따라 공연 향유층 늘어”
▲ 가수 박효신이 오는 5월 개막하는 뮤지컬 ‘팬텀’에서 9년 만에 팬텀 역을 맡을 예정이다. 사진은 뮤지컬 ‘웃는 남자’의 한 장면.
EMK뮤지컬컴퍼니 제공
올해 공연계에 유독 기념비적인 해를 맞은 장수 뮤지컬이 많다. 30주년의 ‘명성황후’를 필두로 ‘베르테르’가 25주년을 맞았고 ‘지킬 앤 하이드’도 20주년 기념 공연으로 관객들을 만나고 있다.
뮤지컬 시장은 2010년대부터 대형 라이선스 작품들이 꾸준히 성공을 거두면서 2022년 처음으로 매출 4000억원을 돌파했다. 여기에는 일명 ‘뮤지컬 덕후’로 불리는 여성 관객의 역할이 컸다. 이들은 반복 관람을 뜻하는 ‘회전문 관객’을 자처하며 시장을 키웠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공연 티켓 매출은 영화 극장 매출을 추월했고 생생한 현장성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뮤지컬 관객층이 중장년과 남성 관객으로까지 넓어졌다. 지난 2월 창작 뮤지컬 최초로 누적 관객 200만명을 돌파한 ‘명성황후’가 대표적이다. 안호상 세종문화회관 사장은 “‘명성황후’가 공연 중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 중장년층 단체 관람이 줄을 잇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면서 “마니아 중심이던 뮤지컬 시장의 저변이 확대되며 대중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 ‘킹키부츠’의 10주년 기념 공연 모습.
CJ ENM 제공
2004년 국내 초연한 ‘지킬 앤 하이드’는 브로드웨이 작품을 우리 정서에 맞게 재해석한 데다 삽입곡 ‘지금 이 순간’이 큰 인기를 모으면서 뮤지컬 시장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1인 2역인 지킬과 하이드를 통해 선악이 공존하는 인간의 이중성을 극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지난달 2일 국내 누적 관객 2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국내 초연 10주년 공연을 성료한 ‘킹키부츠’의 경우 평균 객석 점유율이 99.9%에 달했다.
▲ ‘지킬 앤 하이드’ 20주년 기념 공연에 출연한 배우 신성록.
오디컴퍼니 제공
오는 5월 31일에는 ‘팬텀’ 10주년 기념 공연이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개막한다. 2015년 국내 초연한 이 작품은 천재적 음악 재능을 지녔으나 흉측한 외모로 인해 오페라 극장 지하에 숨어서 살아가는 팬텀의 삶을 그린다. 팬텀 역으로 박효신과 카이, 전동석이 출연한다. 특히 막강한 티켓 파워를 자랑하는 가수 겸 뮤지컬 배우 박효신은 2016년 공연 이후 9년 만에 팬텀을 맡아 무대에 오른다.
▲ 20주년을 맞은 창작 뮤지컬 ‘빨래’의 한 장면.
씨에이치수박 제공
대학로 대표 창작 뮤지컬 ‘빨래’도 지난달부터 서울 종로구 인터파크 유니플렉스에서 20주년 공연 중이다. 2005년 초연한 ‘빨래’는 서울 변두리 작은 동네를 배경으로 타향살이하는 소시민의 애환과 희망을 담아낸 작품이다. 누적 공연 횟수 6300회, 누적 관객 수 130만명을 넘기며 스테디셀러로 자리잡았다.
‘사랑은 비를 타고’ 30주년 공연도 오는 29일 서울 백암아트홀에서 개막한다. 1995년 초연한 이 작품은 부모를 여의고 동생들을 키워 온 맏형 동욱에게 가출했던 동생 동현이 찾아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남경주, 남경읍, 최정원을 비롯해 수많은 스타가 거쳐간 작품으로 국내 창작 뮤지컬로는 최초로 해외 수출을 성사하기도 했다.
‘지킬 앤 하이드’를 제작한 신춘수 오디컴퍼니 대표는 “뮤지컬 산업의 성장은 그 나라 경제력과 연관이 적지 않은데 우리 경제가 성장하면서 공연 향유층이 급증했다”며 “제작사 및 프로듀서의 노력과 관객 성원이 이어져 뮤지컬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은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