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한복엔 단순·정교함 공존… 모차르트의 양면성 닮아”

입력: ‘25-03-16 23:31 / 수정: ‘25-03-16 23:31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무대·의상 디자인 도전 피에르 요바노비치

확대보기
▲ 프랑스 출신 세계적인 디자이너 피에르 요바노비치가 오는 20~23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국립오페라단 제작 ‘피가로의 결혼’의 무대와 의상 디자인을 맡았다. 패션과 인테리어 부문에서 이름을 알린 그의 두 번째 오페라 작업이다. ⓒ안토니도옌·국립오페라단 제공


●패션→인테리어→오페라 디자이너로

예술가의 비상한 감각은 장르에 구애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질적인 도전은 그들에게 새로운 영감이 되기도 한다. 패션디자이너로 경력을 시작해 인테리어로 관심사를 옮겼다가 이제는 ‘오페라 디자인’에 도전하는 프랑스의 세계적인 디자이너 피에르 요바노비치(60) 이야기다. 오는 20~23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무대에 오르는 ‘피가로의 결혼’ 무대와 의상은 그가 디자인한 것이다. 요바노비치를 16일 서면으로 만났다.

“내 디자인은 항상 ‘이야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오페라는 공간과 빛 그리고 감정이 어우러져 강력한 이야기를 만드는 예술이다. 오페라 무대를 만들며 음악과 배우 그리고 그들과 함께 변화하는 건축 공간에 대해 사유하게 됐다. 단순한 요소로 공간을 바라보는 방식을 바꾸는 게 나의 본질적인 목표다. 오페라는 그것과 맞닿아 있다.”

공간은 무엇이고 그것은 어찌 감각되는가. 요바노비치의 이런 고민은 패션과 인테리어 그리고 오페라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질문이다. 요바노비치의 변신은 그래서 아예 뜬금없는 게 아니다. 그가 오페라 무대를 처음 디자인한 건 2023년이다. 프랑스 연출가 뱅상 위게가 연출하고 스위스 바젤 극장에서 공연한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 무대를 디자인했다. 위게는 이번 ‘피가로의 결혼’도 연출한다. 요바노비치와 위게의 협업은 이번이 두 번째다. 위게는 이번 공연에서 무대뿐만 아니라 의상도 요바노비치에게 맡겼다.

확대보기
▲ 1막 무대 이미지. ⓒ안토니도옌·국립오페라단 제공


●강렬하면서 감정적인 무대 보여 드릴 것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혁신적인 예술가다. 기술적으로 뛰어날뿐더러 인간 본성에 대한 예리한 통찰을 지녔다. 얕은 것과 깊은 것, 유머와 비극, 우아함과 날것의 감정이 그의 작품 안에서 절묘하게 공존한다. 모차르트의 이런 ‘이중성’을 공간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시각적으로 강렬하면서도 감정적인 깊이와 연결된 무대를 보여 드리겠다.”

확대보기
▲ 요바노비치가 작업한 스케치다. 왼쪽부터 피가로 1·2막 의상, 알마비바 백작 1막 의상, 알마비바 백작 부인 1막과 3막 의상. ⓒ안토니도옌·국립오페라단 제공


●53벌 직접 제작… “저고리 매듭서 영감”

요바노비치가 이번 공연을 위해 직접 디자인한 의상은 모두 53벌이다. 캐릭터의 감정적, 서사적 변화를 의상에 반영하려고 했단다. 예컨대 피가로의 의상은 영리함과 재치를 드러낸다. 알마비바 백작의 의상은 권위적이면서도 점점 불안해지고 있는 그의 내면을 반영하며 알마비바 백작 부인의 의상 역시 오페라의 진행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지는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그는 “오페라의 감정적 흐름을 강화하는 시각적 언어를 구축하고자 했다”면서 “작은 자수 하나, 원단의 질감 하나까지도 작품의 세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는 요소”라고 강조했다. 전체적인 의상의 콘셉트는 1920년대 프랑스 패션에서 아이디어를 가지고 왔다. 하지만 그뿐만이 아니다.

“한복의 요소도 의상에 반영했다. 한복에는 단순함과 정교함이 공존한다. 깨끗한 실루엣과 유려한 원단의 흐름 그리고 구조적인 아름다움이 층을 이룬다. 예컨대 저고리의 매듭이 만드는 우아한 움직임은 ‘피가로의 결혼’ 전체의 미적인 언어와도 맞물린다. 한복은 내게 큰 자극이 됐다. 이번 공연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오페라 본연의 정신을 충실히 유지하는 작품이 됐으면 한다.”

오경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유네스코 등재 10년’ 당진 기지시줄다리기…암수 100m 줄 제작 대장정
    올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10년을 맞은 충남 당진 기지시줄다리기 축제에 사용될 길이 100m, 지름 1m가 넘는 큰 줄 제작이 시작됐다.당진시는 기지시줄다리기 민속축제에 쓰일 큰 줄 제작이 12~13일 진행된다고 밝혔다.큰 줄은 4월 10~13일까지 송악읍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과 기지시 틀못광장 일원에서 열
  • 새별오름 들불축제 백미 ‘오름 불놓기’ 알고보니… 수년간 산림법 위반
    새별오름에서 진행되는 제주의 대표적인 축제인 들불축제 ‘오름불놓기’가 감사결과 그동안 산림보호법을 위반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4일 제주도 감사위원회는 4일 제주들불축제 관련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제주시장과 애월읍장 등에게 3건의 행정상 주의조치를 했다고 밝혔다.감사위가 제주도의회와 정의당제주도당 및 제주녹색당에서
  • 경기도,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 개최···옛 경기도청 상권 활성화·ESG 실천
    경기도 ESG 담은 ‘2024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10월 12일~16일)경기도가 10월 12일부터 16일까지 수원시 팔달구 옛 경기도청사 일대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해 보물을 찾는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에 앞서 10월 7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리얼 트레저 페스티벌’은 옛 경기도청사 인근 지역 상권 활성화를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