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계’는 여백의 미로 전체 그림을 완성하는 동양적 미학을 무대 위에 구현했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한국무용은 고루하지 않을까. 현대무용은 난해하지 않을까. 그래서 둘이 만나면 고루하고 난해한 작품이지 않을까.
그런데 그 둘이 만나니 이렇게 참신하고 세련될 수가 없다. 편견을 보기 좋게 깨트린 환상의 조합이다.
3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공연을 마친 ‘사계’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이 서로 제대로 만나면 위대한 명작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작품이다.
전통 한국춤의 대가 국수호와 현대무용가 김재덕의 공동 작업으로 만들어진 ‘사계’는 제목 그대로 계절을 소재로 인간과 자연의 움직임을 무용으로 풀어냈다. 세대와 장르, 안무 스타일에서 뚜렷이 다른 국수호와 김재덕이 서로의 창작을 보완하며 대본, 연출, 음악 등 전 과정을 함께 구상해 공연을 완성했다. 봄과 여름은 김재덕, 가을과 겨울은 국수호가 맡아 계절의 순환 속에서 시간의 영원성과 반복되는 순환의 의미를 담아냈다.
▲ 전통의 본류를 놓지 않으면서 현대적인 움직임을 가미해 ‘사계’는 색다른 즐거움을 만들어냈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동양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만큼 작품에는 신비로움이 가득했다. 서양 문화와 대비되는 동양 문화의 특징이라 하면 다 드러내지 않아도 무한히 드러나는 채움과 비움의 공존, 남겨둔 공간이 전체 그림을 완성하는 여백의 미가 있는데 ‘사계’에는 이런 특징이 그대로 담겼다.
무용수들의 움직임은 하고 싶은 말을 선뜻 다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풍성하게 번져오는 울림이 있었다. 춤을 추며 때때로 무대의 절반을 비워둔 행렬은 여백의 미를 파생시켰고 이 공간과 무용수들이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이 됐다. 절제된 움직임을 보이는 전통 무용을 기반으로 했기에 가능한 특유의 미학이다.
그러면서도 무용수들은 전통의 틀에만 갇혀 있지 않았다. 절도와 질서를 유지하면서도 융합된 에너지가 개별적이고 역동적으로 분출하는 움직임에서 현대무용의 짙은 기운이 느껴졌고 보는 내내 시선을 강탈해갔다. 여기에 빠른 템포의 일렉트로닉 음악에 국악기의 라이브 연주를 입힌 음악은 전통무용 장르에서 접하기 어려운 박자감을 만들어냈고 무용수들이 거기에 맞춰 움직임으로써 긴장감을 불어넣었다.
▲ 박자감을 살린 군무는 전통의 틀에서 벗어나 관객들에게 몰입감을 선사했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언뜻 생각하면 물과 기름처럼 부조화를 이룰 것 같은 만남이지만 “현대적인 것과 한국적인 것, 서사와 추상, 유형과 무형 등 국수호 선생님과 저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는 김재덕의 말처럼 잘 잡힌 밸런스가 맛있는 춤을 만들어내면서 관객들도 흠뻑 빠져들 수 있었다.
마지막에 신나는 춤판이 벌어진 후 다시 웅크린 무용수들은 끝이 시작이 되고, 시작이 다시 끝으로 돌아가는 시간의 영원성과 순환의 의미를 보여줬다. 깊고 오묘해 말로는 다 표현하기 어려운 동양적 세계관이 전통적이면서도 동시에 현대적인 춤으로서 표현된다는 것이 깊은 인상을 남겼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