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알기 쉬운 우리 새말] 커리어 하이를 대신할 우리말은?

입력: ‘22-11-29 16:31 / 수정: ‘23-01-03 13:47

김정희 / 한글문화연대 기획위원

확대보기
▲ 김정희
이번에 새말모임에서 다듬은 ‘커리어 하이’(career high)는 의외의 복병이었다.

용례를 보면 무슨 뜻인지 금세 이해하겠고, 대체할 우리말도 금세 찾을 수 있을 듯싶었다. “○○○은 체코 후스토페체 실내 대회에서 2m 36㎝를 넘어 커리어 하이를 경신했다”(오마이뉴스 2022년 10월), “홈런 줄었지만 타율·안타는 ‘커리어 하이’ 찍는 ○○○”(스포츠동아 2022년 9월) 등의 기사에서 보듯이 ‘최고 기록’을 뜻하는 말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런 뜻으로 영어권에서도 ‘커리어 하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국내 언론에서는 2003년 외국의 야구 선수 기록을 소개하면서 “커리어 하이 시즌을 예고하고 있다”는 표현을 쓴 이래 주로 운동 경기 관련 기사에서 2만 6000번 넘게 사용했다. 그렇다면 그냥 ‘최고 기록’이라는 말로 다듬으면 되는 게 아닐까? 더 궁리할 필요가 있을까?

그런데 막상 국어사전이나 인터넷 백과사전에서 뜻풀이를 찾아보면 그게 아니었다. 국립국어원 개방형 사전인 ‘우리말샘’에서는 ‘커리어 하이’를 “체육 운동에서, 선수가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는 시기. 또는 그런 것”이라고 풀이하며 “커리어 하이가 너무 일찍 온 것 아니냐는 우려는 올 시즌 활약으로 가뿐히 날려 버렸다”(마이데일리 2016년 9월)는 용례를 소개했다. 위키백과에서는 “스포츠 종목에서 개인이 가장 잘했던 시즌, 또는 그런 것을 말한다”고 풀어 썼고, 국립국어원에서 새말모임에 제공한 뜻풀이도 역시 “주로 운동에서 선수가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는 시기를 이르는 말. 가수 등 연예인의 활동 성과에도 쓰인다”라고 설명했다.

위 세 가지 뜻풀이에 따르면 ‘커리어 하이’의 ‘커리어’는 ‘기록’이 아니라 ‘시기’를 일컫는 말이며, 따라서 ‘커리어 하이’는 ‘최고 기록’이 아니라 ‘최(고)전성기’라고 다듬어야 할 수도 있다는 것이 바로 고민의 지점이었다.

용례를 더 꼼꼼히 찾아보면 실제 두 가지로 사용되고 있다. 2007년의 스포츠조선 기사에는 “커리어 하이란 야구 인생을 통틀어 가장 좋은 성적을 낸 시즌을 뜻한다”라며 특정 ‘기간’을 가리킨다고 콕 집어 명토 박고 있고, 2002년 11월 기사에서도 “군 복무 후 2019년은 기록 면에서 ○○○의 커리어 하이였다”며 경력 중 일정 ‘시기’를 가리키는 말로 썼다.

영어권에서도 마찬가지다. 콜린스 사전에 예문으로 나온 다음 문장을 보자. “We‘ve experienced a lot of career highs and lows together….”(The Sun 2020) 우리말로 푼다면 “우리는 많은 경력의 오르내림을 함께 경험했다”라고 번역할 수 있는데, 여기서도 ‘커리어’는 ‘기록’이라기보다 ‘경력 자체’를 뜻한다고 보는 게 맞겠다.

한편 최근 들어 국내에서 이 용어는 연예인들에게도 쓰이기 시작했는데, 모 여성 그룹이 외국의 음원 순위에서 몇 위를 차지해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다는 식으로 주로 사용됐다. 하지만 연예 기사 역시 “그의 연기 인생에서 커리어 하이를 맞았다”(퀸 2022년 11월)는 표현처럼 ‘최전성기’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니 ‘커리어 하이’는 ‘최고 기록’이라고 단순히 바꾸기는 어렵다.

그래서 새말모임에서 역시 ‘기록’에 집중할 것인가 ‘기간’이라는 의미도 고려해야 하는가를 놓고 의견을 나눴고, 결국 ‘더 많은 용례’에 근거해 새말을 다듬기로 결정했다. 우리 언론의 사용례를 보면 ‘커리어 하이’를 ‘최고 기록’이란 의미로 쓴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그 같은 기록을 세운 최전성기를 가리킬 때는 ‘커리어 하이 시즌을 맞았다’는 식으로 ‘시즌’이라는 표현을 함께 쓰는 게 관례처럼 굳었기 때문이다(‘시즌’이라는 표현도 우리말로는 ‘때’, ‘시기’라고 고쳐 써야 하겠으나, 운동 경기에서 한 해 성적을 집계할 때 사용하는 시간 단위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대로 사용한다).

그래서 새말모임이 다듬어 선보인 우리말 후보는 ‘최고 기량’, ‘최고 성적’, ‘최고 기록’이었다. 그중 여론조사를 통해 국민들에게 가장 많은 지지를 얻은 ‘최고 성적’이 다듬은 말로 확정됐다. 물론 간혹 ‘시기’를 나타내기 위해 ‘커리어 하이’라는 말을 쓰고 싶은 유혹에 시달릴 때는 ‘최전성기’라는 말을 사용하면 되겠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을 지적하자면 특정 여성 그룹의 최근 활약을 소개한 언론 기사를 살펴보니 여러 매체가 일괄적으로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다’는 표현을 썼다는 사실. 두세 곳의 매체가 사용했다면 우연이라 하겠으나 10여개 매체가 똑같은 표현을 사용했다는 것은 보도자료를 그대로 옮겼거나, 제1 보를 보낸 통신사 기사를 그대로 쓴 것이라 볼 수밖에 없다. 보도자료를 인용하거나 통신사 기사를 줄기 삼아 기사를 쓰는 것은 관행이라 하더라도 굳이 쓸 필요 없는 영어 표현을 여러 언론 매체들이 하나같이 옮겨 쓰는 것은 그다지 보고 싶지 않은 현상이다.

※ 새말모임은 어려운 외래 새말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말로 다듬어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국어, 언론, 통번역, 문학, 정보통신, 보건 등 여러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모임을 꾸리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유네스코 등재 10년’ 당진 기지시줄다리기…암수 100m 줄 제작 대장정
    올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10년을 맞은 충남 당진 기지시줄다리기 축제에 사용될 길이 100m, 지름 1m가 넘는 큰 줄 제작이 시작됐다.당진시는 기지시줄다리기 민속축제에 쓰일 큰 줄 제작이 12~13일 진행된다고 밝혔다.큰 줄은 4월 10~13일까지 송악읍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과 기지시 틀못광장 일원에서 열
  • 새별오름 들불축제 백미 ‘오름 불놓기’ 알고보니… 수년간 산림법 위반
    새별오름에서 진행되는 제주의 대표적인 축제인 들불축제 ‘오름불놓기’가 감사결과 그동안 산림보호법을 위반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4일 제주도 감사위원회는 4일 제주들불축제 관련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제주시장과 애월읍장 등에게 3건의 행정상 주의조치를 했다고 밝혔다.감사위가 제주도의회와 정의당제주도당 및 제주녹색당에서
  • 경기도,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 개최···옛 경기도청 상권 활성화·ESG 실천
    경기도 ESG 담은 ‘2024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10월 12일~16일)경기도가 10월 12일부터 16일까지 수원시 팔달구 옛 경기도청사 일대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해 보물을 찾는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에 앞서 10월 7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리얼 트레저 페스티벌’은 옛 경기도청사 인근 지역 상권 활성화를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